'양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양파/양파재배/고랭지양파/양파 결 (0) | 2017.07.02 |
---|---|
양파/햇양파/고랭지양파/친환경양파/무농약양파 (0) | 2017.05.26 |
풋양파대/친환경양파/고랭지양파 (0) | 2017.04.19 |
양파재배/고랭지양파 (0) | 2017.01.13 |
양파모종 가식작업 (0) | 2016.09.18 |
적양파/양파재배/고랭지양파/양파 결 (0) | 2017.07.02 |
---|---|
양파/햇양파/고랭지양파/친환경양파/무농약양파 (0) | 2017.05.26 |
풋양파대/친환경양파/고랭지양파 (0) | 2017.04.19 |
양파재배/고랭지양파 (0) | 2017.01.13 |
양파모종 가식작업 (0) | 2016.09.18 |
10월 25일 빨강양파모종 200구 트레이 한판사서 비닐멀칭 하지않고 심었드니
지금현재 160본 정도 살아서 자라고 있으니 이데로만 유지되면 자가소비용으로
충당할수 있을것으로 기대하고 있읍니다.
월동후 고자리파리 방제는 언제하며 무슨약을 해야할지 조언해 주시면 감사하겠읍니다.
출석부 댓글에서
특우는 오전 10시
중요한 계약이 있는 장소로 이동하느라 바로 답글을 드리지 못해 다시 이런 공간을 만들어 봅니다.
텃밭농사를 지으시는 분들은 참고하셔서 양파재배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답변입니다.
양파농사는 2, 3월에 결정될 만큼 중요한 시기입니다
수분관리
비대관리
잡초관리
병 해충 관리 등
이 중에 고자리파리방제 방법으로는
관행농업일 경우
1, 양파밭만들기 할 때 미숙퇴비는 금지
2, 토양살충제(마늘,양파에 등록된 카운타 등) 100평당 3kg 내외 살포
3, 양파정식 후, 바로 토양살충제 100평당 3kg 내외 살포(약해 없음)
4, 정식 후, 고자리파리가 발생할 시기에 싸이메트입제(냄새 많이 남) 토양살충제 혼용 살포하여
농약냄새 때문에 파리가 접근을 못하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고자리파리는 1년에 3회 발생하는데 주로 애벌레가 양파에 피해를 줍니다.
참고
고자리파리는 년 3회발생
1화기-4월중순
2화기-6월상순
3화기-9월하순~10월상순
관행농업에 사용하는 병 해충 농약에 대해서는
이런 공간에서 충분한 설명을 드릴 수가 없는 점 이해해 주시구요
가까운 농약사에 가셔서 상담 후 처방 받아 사용하시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의약은 의사나 약사에게
농약은 농약취급 관리자나 약사에게...ㅎ
친환경농법 고자리파리 예방 및 방제는
관행농업에 사용하는 농약처럼 안전기준에 맞게 등록된 약제가 없는 현실입니다
농가마다 자신들만의 노하우에 의한 농법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토양관리에서 부터 사용하는 농자재에 의한 병 해충 방제가 각각 다릅니다.
하여
안전기준에 맞는 등록된 농약이 없으므로 하여 제품 안내는 어렵습니다
특우농원의 경험으로는
친환경농업의 기본은 토양관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농업의 최대의 적인, 병 해충을 예방하고 방제하는 결과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경험을 하고 있습니다
친환경농법일 경우
고자리파리가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을 억제해야 합니다
토양에는 미숙퇴비,가축분뇨 사용을 금하고
텃밭농사일 경우 양파심을 면적에 정식전 은행잎을 넣고 로터리하고
정식 후, 은행잎을 덮어 주면 해충 억제에 도움이 됩니다.
연작을 피하고
백두옹(할미꽃)을 농약을 만들어 활용하고
(재래식화장실에 할미꽃 넣으면 구더기 억제)
양파재배 밭에 파리 유인 트랩을 만들어 파리를 유인하여 잡아 개최수를 줄이는 방법도 있습니다
식물을 튼튼하고 건강하게 키우려면
물
영양 / 3대요소,중요소,미량요소 (식물성장 필수요소 16가지 필요)
병,충해 방제 / (화학농약,친환경농약)
위의 방법에 의존 하지 않고
무비료,무농약방법으로 농사 짓는 것은 어떤 변화가 있을지는 예측이 어렵지요
무영양,무농약 방법은 좋을것 같지만
제대로 병 해충 방제가 되지 않은 먹거리는
온갖 공해나 산성 빗물에 의해
우리 몸에 해로움을 줄 수 있는 세균,바이러스,각종 곰팡이균 등
기생충, 해충에서 내어 놓은 분미물 독성 등이
먹거리에 생존해 있을 수 있다는 것도 생각을 해야합니다.
미국에서 실시된 식품원인 질병 조사결과에 따르면
식품오염의 원인은 90%가 세균과 곰팡이고
바이러스는 6%
화학물질은 3% 정도라는 조사결과로 본다면
우리는 막연하게 화학비료,화학농약에 대한 불신과 과대한 걱정을 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재배기간동안 건강하게 자라지 않은 먹거리는 우리몸에 해로움을 준다는 사실과
이 때문에 자칫 식중독 등 대형 사고가 빚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 되고 있습니다
화학농약,친환경농약 사용시
안전기준 지켜 사용되어야 하고
식물에 필요한 영양소(비료),농약은 필수입니다.